펀드   >   연구자료
Research Documents
국내 성과연동보수제 공모펀드의 적정보수 추정
관리자 2017-11-08 17:35:37





1. 성과연동보수제 공모펀드 현황
[현황] ‘17년 6월 이후 9개 운용사에서 총 12개의 펀드가 설정되었다.
[기본구조] 성과보수제는 낮은 수준의 기본보수를 수취하는 대신, 성과에 연동된 보수가 발생한다. 최소요구수익률(Hurdle Rate)개념인 절대수익률은 2~5% 수준으로 절대수익률을 초과달성하게 되면 성과보수가 지급된다.
성과보수율은 통상 초과분의 약 10.0%를 수취하며 사전에 설정된 절대수익률을 초과하지 않으면 성과보수는 발생하지 않는 비대칭적 구조다.

2. 기본 보수비교
[보수비교] 평균적으로 성과연동보수제의 기본 운용보수는 기존 정률제 보수 펀드들에 비해 확연하게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기존 정률제 펀드가 약 51bp의 운용보수를 수취한 데 반해, 성과연동보수제의 기본 운용보수는 약 10bp로 41bp가량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유형] 실제 출시된 펀드를 보면, 채권형 펀드는 출시된 바가 없으며, 주식형 펀드보다 혼합형 펀드의 기본보수율이 높은 점이 확인된다. 기존 정률보수제의 운용보수가 주식형이 가장 높고 안전자산인 채권형으로 갈수록 운용보수가 낮아지는 현상과 차별되는 내용이다.

3. 성과연동보수제의 적정 운용보수 추정
[추정방법] 앞서 성과연동보수제 펀드의 기본 운용보수가 유형평균 운용보수에 비해 눈에 띄게 낮은 수준인 것이 확인되었다. 다만 이러한 단순비교는 성과보수가 반영되지 않아 직접적인 비교를 위해서는 성과보수까지 고려해야한다.
성과보수는 Black-Scholes Option Pricing 모형을 통해 구할 수 있다. 이는 성과보수 구조가 가지는 특징이 Call Option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4. 성과연동보수제 백테스팅(Back-Testing)
[분석방법] 보수차감전 유형수익률을 역산하여 총수익률(Gross Return)을 계산하고, 이를 성과보수제 구조에 적용하여 순수익률(Net Return)로 재산출하였다. 보유기간은 1년과 3년을 각각 구분하였으며, ‘07년부터 ‘16년까지 10년간의 기간을 대상으로 하였다.

5. 맺음말
[제언] 시장은 항상 변화하고, 상승과 하락의 방향성은 항상 존재한다는 투자의 대원칙을 고려하면 성과연동보수제는 투자자에게 새로운 투자대안이 될 수 있다.
성과연동보수제 펀드는 상승장에서 보다 높은 보수를 지급하게 된다. 반면 하락장 혹은 횡보장에서 낮은 보수율로 투자자에게 효익을 안겨준다.
장기투자 성향 및 손실회피 성향의 투자자는 주가 상승시 보다 높은 보수가 지출되는 일종의 프리미엄을 지급한다. 그리고 등락하는 시장에서 총보수는 오히려 낮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투자자가 펀드에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첨부파일 : 성과연동보수제_이슈레포트_20171011.pdf
목록